分类:免费论文 更新时间:01-22 来源:网络
개요
대부분의 사람들은 모국어를 자유롭게 구사하지만 자신의 언어가 엄격한 규칙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사실을 깨닫지 못한다. 그러나 외국어를 배워 보면 언어가 규칙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하찮은 듯한 작은 규칙 때문에 결국 한문장 전체가 틀린 문장이 되기도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너무, 아주, 몹시’ ‘太 ,很, 非常’를 중심으로 한·중 정도부사 비교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양국의 정도부사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아내어 그들 간의 사용이나 대응규칙을 살펴보고자 한다.
키워드: 정도부사;한국어 ;중국어
摘要
大部分的人在随心所欲地使用母语遣词造句的时候,并不能察觉自己的语言其实有着严格的规则。即使是一个细小的规则也有可能导致整句话成为病句。所以本论文以 ‘너무, 아주, 몹시’ ‘太 ,很, 非常’ 为中心针对 韩·中程度副词展开研究,试图找出两国程度副词之间的异同以及它们在使用时的对应规则。
摘要:程度副词;韩语;中文
目录
개요
摘要
제1장 서론 1
1.1연구목적 1
1.2연구의의 1
1.3 선행연구 1
제2장 본론 3
2.1한국어와 중국어의 정도부사의 개념 및 비교 3
2.1.1한국어 정도 부사의 정의 3
2.1.2중국어 정도부사의 정의 3
2.1.3한국어와 중국어의 정도부사 비교 4
2.2 한국어 정도 부사어의 중국어 대응표현 6
2.2.1피수식어와의 공기관계 6
2.2.2 형용사의 수식 제약 7
2.2.3 관형사의 수식제약 9
2.2.4다른 부사의 수식 제약 9
2.2.5 동사의 수식제약 10
2.3 통사적 특징에 대한 한.중 비교 11
제3장 결론 13
참고문헌 14
감사의 글 16
제1장 서론
1.1연구목적
한국어 정도 부사는 주로 형용사나 부사 앞에 나타나 피수식어인 형용사나 부사의 정도성을 나타내는 기능을 하는 부사를 말한다. 이러한 정도 부사는 한.중 문장에서 많이 쓰이는데 번역과정에서 일대일로 대응되지 못하는 특성상 상당한 혼란이 야기될 것이다. 한ㆍ중 정도부사의 복잡한 대응양상은 양국 언어의 학습자들에게 상당한 혼란을 야기할 수있으며, 한ㆍ중 번역에서 오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통사론적으로 한·중 정도부사를 분석하고 비교하여 그 정도부사들의 중첩하는 통사적 특성의 차이를 살피고, 이들을 사용할 때 대응되는 양상을 밝히는데 있다.
1.2연구의의
중국어하고 한국어는 감정적 표현이 아주 발달한 언어로 이를 표현하기위하여 많은 부사를 사용하고 있다. 특히 부사중에서 정도부사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정도부사는 화자의 주관적이며 심리적인 기준에 의해 표현되고, 화자가 표현하고 싶은 내용을 더 과장하고 강조하는 역할을 한다.본 논문은 본인의 한국어 이론의 박약함으로 말미암아 심도 전면적인 연구라고 볼수 없는데 이 연구를 통해 한.중 언어대조의 연구에 대해 다소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
1.3 선행연구
일찍 다른 분들도 이 방면의 연구를 거쳐왔었는데 오늘 저는 그것을 참고로 다시 한번 중국어와 한국어의 정도부사의 차이를 비교하려고 한다
김종호(1999)에서는 한ㆍ중 양국 언어의 정도 부사의 용법에 대해 대조 분석을 시도하였으며 중국어 정도 부사 ‘很’과 정도 부사 ‘매우’를 연구 대상으로 하여 두 언어 정도 부사가 주관적인 정도성을 가짐을 밝혔다. 沈陶(2011)에서는 한ㆍ중 비교성 정도 부사들을 대상으로 의미ㆍ통사론적 특성을 밝히고 비교성 정도 부사의 사용이나 대응규칙에서 양국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黄晨(2012)에서는 조창인의 소설 「가시고기」와 「첫사랑」의 한국어 원본판과 중국어 번역판에서 나타난 정도 부사들을 대상으로 대조하고 한국어 정도 부사와 중국어 정도 부사를 미시적으로 비교하였으며 중국어 정도 보어 용법에 대응되는 한국어 표현도 연구함으로서 한국어 정도 부사와 중국어 정도 부사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혀냈다.
제2장 본론
2.1한국어와 중국어의 정도부사의 개념 및 비교
2.1.1한국어 정도 부사의 정의
최현배(1937)는 의미론적 입장에서 정도부사는 ‘모양의 성질을 가진 속성의 정도를 보이는 것’으로 정의하고 피수식어가 가지고 있는 속성, 성질, 상태 등을 강조하였다. 여기서 최현배는 먼저 정도부사에 관한 명칭이나 정의등을 정착시키기 시작한 것으로 볼 수가 있다. 그 이후에 정도부사에 관한 연구는 대부분 공통적으로 최현배의 정도부사에 관한 기술에 약간씩의 수정을 가해 온 것이다. 많은 학자들은 각각 다른 입장에서 정도부사의 정의를 정리한것을 종합해보면, 정도부사가 나타내는 ‘정도’란 것은 어휘적 의미와 긴밀하게 관련되는 내용으로 파악하여 왔다. 이를 정리해 보면 정도부사는 주로 형용사를 꾸며주는 역할을 한다. 통사론적 측면에서 원칙적으로 형용사나 상태성을 지닐 수 있는 동사를 한정해 줄 수 있고, 이 밖에도 일부의 관형사나 다른 부사, 혹은 일부의 체언도 수식해 줄 수 있다. 주로 형용사 앞에 쓰여,어떤 상태의 정도를 나타낸다는 면에서 동사를 수식하는 것은 다른 하위 범주의 부사들과 가장 구별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의미론적 측면에서 정도부사가 어떤 모양의 성질을 가진 속성의 정도를 나타내는 부사라 할 수 있다.
2.1.2중국어 정도부사의 정의
程度副词,是对一个形容词或者副词在程度上加以限定或修饰的副词。 一般位置在被修饰的形容词或者副词之前。(用汉语举例:很,非常,相当, 一点……等等。至于语气和感觉是由后面的词决定的, 程度副词只是说明它的程度)
정도부사는 한 형용사혹은 부사에다 가한 한정이나 수식하는 부사이다. 일반적으로 피수식한 형용사나 부사 앞에 쓰인다(예:너무 가장 매우 좀…등등. 다만 말투와어감은 그뒤의 단어에대해 결정한다, 정도부사는 그의 정도만 설명한다.)
2.1.3한국어와 중국어의 정도부사 비교
인터넷과 사전을 통해 한.중 정도부사의 정의와 목록을 간단히 정리했다.
한국어 중국어
정의 어떤 것의 성질이나, 상태, 속성 등을
강화하거나 약화시켜 주는 구실을 하는
부사이다. 어떤 것의 성질이나, 상태, 속성 등을
강화하거나 약화시켜 주는 구실을 하는부사이다.
목
록
가장 작음 꽤, 거의, 바로, 퍽, 매우,
훨씬, 너무, 조금, 아주 很, 极, 最, 太, 更, 比较, 稍, 略, 多, 多么 등
가장 많음 꽤, 퍽, 무척, 몹시, 매우,
아주, 제법, 더, 덜, 한결,
한층, 일층, 더욱, 훨씬, 비교적, 보다, 가장,제일, 다소, 약간, 조금,얼마간, ~정도로, ~만큼, ~배, 거의,거진, 더라, 많이, 한껏, 잔뜩, 수없이, 겨우, 다만, 고작, 기껏, 꼭, 단, 딱, 무려불과, 한, 약, 근, 아주, 영,사뭇, 썩, 뚝, 되게, 끔찍하
게, 크게, 무지무지하게, 지나치게, 지독하게, 완전히,월등히, 유달리, 상당히, 오죽, 아무리, 얼마나, 작히,여간, 도무지, 전혀, 과히,
별로, 그다지 등 很, 最, 太, 极, 更, 顶, 挺, 较, 越, 稍略 多么, 非常, 格外, 分外, 过于, 过分,极其, 极度, 极端, 十分, 特别, 相当, 万分 등
위의 표를 보면, 한국어 정도부사와 중국어 정도부사의 정도부사는 같은 정의를가지고 있다. 즉 ‘정도부사’는 ‘어떤 것의 성질이나, 상태, 속성 등을 강화하거나 약화시켜 주는 구실을 하는 부사’라고 하였다. 그리고 한국어와 중국어 모든 정도부사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정도부사가 화자의 심리적인 태도를 다양하게 표현하는 주관적인 어휘라서 두 나라의 정도부사의 목록이 완전히 다르게 나타났다. 이러한 유사점과 차이점을 통해 한국어 정도부사와 중국어 정도부사를 더 쉽게 이해하고 확실하게 파악할 수 있다.
2.2 한국어 정도 부사어의 중국어 대응표현
어떤 상태의 성질이나 동작의 정도를 나타내는 부사를 정도부사라고 한다. 그러므로 정도부사는 어떤 성질이나 상태의 속성적인 개념과 결합하여 상태성의 정도를수식하게 된다. 정도부사는 형용사를 비롯하여 관형사나 동태 부사류어를 두루 수식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 연구 대상으로 삼고 있는 ‘너무, 아주,몹시’ 와 ‘太,很,非常’들의 사전적 의미는 ‘보통 정도를 훨씬 넘게’의 [대단히]의 중심 의미를 가지고 있기에 많은 환경에서 거의 같이 쓰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유의 정도부사들은 서로 [대단히]의 중심 의미에서 번져 나가고 주변 의미도 있기 때문에 서로 다른 통사 구조를 보이는 경우도 있다. 게다가 한국어와 중국어는 언어 제체의 차이와 어순의 차이 때문에 ‘너무, 아주, 몹시’ 와 ‘太,很,非常,十分’은 통사적인 차이는 피할 수 없는 것이다. 여기서는 이들 유의 정도부사의 통사적 특성의 다름을 살펴보고자 한다.
2.2.1피수식어와의 공기관계
수식대상이 다양하다는 것은 정도부사의 가장 큰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정도부사의 전형적인 공기상은 상태성 용언 또는 상태 부사와 어울리는 것이다. 홍사만은 정도부사의 피수식어는 대체로 상태성을 띠는 형용사, 일부 관형사, 양태부사, 일부 동작동사와 공기 관계를형성한다고 제시하였다.
(1) ㄱ. 아까 본 영화는 너무 훌륭하다. <형용사>
刚刚看的电影太精彩了。
ㄴ. 이것은 아주 새 신발이다. <관형사>
这是非常新的鞋子。
ㄷ. 동생은 밥을 몹시 많이 먹는다. <양태부사>
弟弟饭吃得非常多。
ㄹ. 언니가 아주 화났다. <동작동사>
姐姐非常生气
예문을 통해 정도부사는 굉장히 다양한 범주를 수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한국어와 중국어는 품사 분류와 어법 기능이 다르기때문에 정도부사는 피수식어와 관계에서 차이점이 있다. 다음은 정도부사가 수식하는 피수식어를 품사 범주별로 살피는 것이다.
2.2.2 형용사의 수식 제약
ㄱ. 그 아이는 아주 착하다.
那孩子很善良。
ㄴ. 장백산의 경치는 너무 아름답다.
长白山的景色太美了!
ㄷ. 사방이 몹시 새까맣다.。
四周非常漆黑。
ㄹ. 아주 미끈한 고속도로
很笔直的高速公路。
예문(2)에서 ‘너무, 아주,몹시’는 제약 없이 형용사를 자연스럽게 수식할
수 있다는 반면 ‘太, 很, 非常’은 일부 형용사와 결합할 수 없다. (2ㄴ)에서 보듯 ‘太’가 형용사를 수식할 때 일반적으로 형용사 뒤에 접미사 ‘了’를 붙여야 된다. ‘太’가 표현하는 말투가 강렬하기 때문에 청자에게 끝없이 아득한 느낌을 주지 않기 위해서 접미사 ‘了’와 같은 완구성분으로 문장을 끝내는것이다. (2ㄷ-ㄹ)와 같은 공기제약의 원인은 일부 형용사가 [상태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어에서는 형용사를 [성질]과 [상태]의 의미 특성으로 분류할 수 있다.즉 예문(2ㄷ)의 ‘漆黑 새까맣다’는, (2ㄹ)의 ‘笔直매우 곧다’는 등의 의미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정도부사‘太, 很, 非常’의 의미를 이미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상태형용사들이 이미 정도화하여 정도성을 획득하고 있었기 때문에 정도부사 ‘太, 很, 非常, 十分’의 수식을 받을 수 없다. 하지만 언어는 빈번하게 사용하는 과정에서 끊임없이 발전하고 있다. 물론 정도부사가 수식할 수 있는 형용사는 성질형용사가 대부분이지만 중국어에서 ‘雪白(새하얗다)’,‘笔直(똑바르다)’ 등과 같은 상태형용사들이 정도부사의 수식을 받는 경우도 점차 많아지고 있다. 이것은 이러한 상태형용사들이 아주 빈번하게 사용돼서 그들의 의미에서 포함되는 ‘정도성’은 사용 과정에서 마모되기 때문이다.
2.2.3 관형사의 수식제약
정도부사가 모든 관형사를 수식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정도부사의 수식대상은 성상(새, 헌, 옛, 맨) 관형사 뿐이다.
ㄱ. 그 유명한 영화는 *{너무, 아주, 몹시} 그 영화이다.
那部有名的电影就是 *{太,很,非常,} 这部电影。
ㄴ. *{너무, 아주, 몹시} 모든 사람
*{太,很,非常} 所有人
ㄷ. {너무, 아주, 몹시} 새 옷
{太,很,非常 } 新的 衣服
성상 관형사는 일반적으로 사람이나 사물의 모양, 상태, 성질을 나타내기 때문에 [상태성]의 의미 자질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어 형용사와 의미 기능이 비슷하므로 정도부사의 수식을 받는다.
중국어에서 한국어의 ‘관형사’와 비슷한 어법 기능을 가지고 있는 어휘들을 구별사 라고 한다. 구별사는 명사를 직접 수식하며 사물의 속성, 특징과 분류를 나타낸다. 예를들면
ㄱ:他的名字很土.
ㄴ:그의 이름은 아주 촌스럽다.
2.2.4다른 부사의 수식 제약
정도부사는 다른 부사를 수식하여 부사구를 이룰 수 있다. 그러나 정도부사가 모든 부사를 수식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다음은 선전된 정도부사들과 다른 부사들과의 공기관계를 살피고자 한다.
ㄱ:나는 밥을 {너무, 아주, 몹시} 많이 먹었다 <양태부사 수식>
我饭吃得{太,很,非常} 多了。
ㄴ: 별이 {너무, 아주, 몹시} 반짝반짝 빛나고 있다. <상징부사 수식>
星星*{太,很,非常,}一闪一闪地发着光。
ㄷ: 나는 동방신기를 너무 너무 좋아한다 <정도부사 수십>
我非常非常喜欢东方神起
예(ㄱ)같은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중국어에서 예문 ‘得+太+형용사’의 형식으로 표현하는 것은 더 자연스럽다. 예문(ㄴ)’에서 너무, 아주, 매우, 몹시’는 일반적으로 [정도성]의 의미 자질을 가지고 있는 상징부사와 자연스럽게 공기할 수 있다. 하지만 중국어에서 {太,很,非常}는 이러한 의태부사를 수식할 수 없다. 예문(ㄷ) 에서‘非常’은 ‘첩용’이라는 어법 기능을 한다. 즉, ‘非常非常’의 형식으로 피수식어의 정도성을 더 세차게 보여준다. 한국어에서도 ‘너무’와 ‘아주’는 ‘非常’과같이 반복해서 그 의미를 더욱 강조하는 경우가 있다.
2.2.5 동사의 수식제약
기존 논의에서 정도부사의 기본적인 수식대상이 형용사이고 양태부사와 다르게 분포상 동작동사를 수식할 수 없는 것이 원칙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정도부사는 다음처럼 동작동사도 수식할 수 있다는 점에서 수식대상을 단순히 형용사만을 국한시킬 수 없다.
ㄱ. 나는 너를 {너무, 아주, 몹시} 사랑한다.
我 {太,很,非常,}爱你。
ㄴ. 나는 너를 {너무, 아주, 몹시} 잘 알고 있다.
我{太,很,非常,} 了解你了。
위의 예문에서 보듯이 (ㄱ)처럼 정도부사와 [+심리]동사들은 일반적으로
자연스럽게 공기할 수 있다. ‘사랑하다, 미워하다, 알다’등은 심리동사에 속하는 것으로 동작동사처럼 구체적인 동작이나 과정을 나태내지 않는다. 하지만 심리동사 중에는 정도부사가 수식할 수 없는 것도 있다. 예를 들면 ‘느끼다, 알다, 기억하다,믿다, 생각하다’ 등과 같은 심리동사는 정도부사의 수식을 받을 수 없다. 단지, ‘잘’과 같은 양태부사 앞에 나타날 수 있다.
2.3 통사적 특징에 대한 한.중 비교
여기까지 한국어 정도부사와 중국어 정도부사가 갖는 통사적 특징을 피수식어의 범주에 따라 피수식어와 공기할 때의 수식제약을 살펴보았다.
두 언어의 정도는 부사는 형용사,성상 관형사,다른 부사,일부 동사를 수식할 수 있다는 통사적 특징을 나타낸다.정도부사는[상태성]의 의미 자질을 갖는 피수식어와 공기하여 정도를 나타낸다는 공통점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한국어와 중국어의 품사 분류차이에 의해 ‘너무, 아주, 매우 ,몹시’와‘太,很,非常,十分’은 대응되어 쓰일 수 없는 경우도 있다. ‘太,很,非常,十分’은 ‘너무, 아주, 매우, 몹시’보다 피수식어를 수식할 때 더한 제약이 나타난다. 한·중정도부사의 통사적 특징에 대해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1) 형용사를 수식하는 것은 정도부사를 다른 부사와 구분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통사적 특성이다. ‘너무, 아주, 매우, 몹시’는 형용사와 제약없이 공기할 수 있는데 ‘太,很,非常,十分’은 일부 상태형용사를 수식할 수 없다.
2) ‘너무, 아주, 매우, 몹시’는 일반적으로 성상 관형사만을 수식할 수 있다. 중국어에서 한국어의 관형사와 비슷한 어법 기능을 갖고 있는 어휘들을 구별사라고 한다. 어법적으로 ‘太,很,非常,十分’은 구별사를 수식할 수 없다. 하지만 현대 중국어에서 구별사의 어법 기능이 변화하고 있기 때문에 점차 정도부사의 수식을 받을수 있는 추세이다.
3) 다른 부사와 공기할 때 ‘너무, 아주, 매우, 몹시’는 일부 양태부사, 상징부사,정도부사, 시간부사를 수식할 수 있는 반면 ‘太,很,非常,十分’ 은 많은 제약을 받기 때문에 거의 다른 부사를 수식할 수 없는 것이다.
4) 한·중 정도부사는 [+심리]동사들과 일반적으로 자연스럽게 공기할 수 있다.정도부사는 [상태성]의 의미 자질을 갖는 피수식어와 공기하여 정도를 나타낸다는 공통점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한국어와 중국어의 품사 분류의 차이에 의해 ‘너무, 아주, 매우, 몹시’와 ‘太,很,非常,十分’은 대응되어 쓰일수 없는 경우도 있다. ‘太,很,非常,十分’ 은 ‘너무, 아주, 매우, 몹시’보다 피수식어를 수식할 때 더한 제약이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제3장 결론
본 논문에서는 통사론적으로 한국어 정도부사 ‘너무, 아주, 몹시’와 중국어 정도부사 ‘太,很,非常’을 분석하고 비교하여 이러한 유의 정도부사들의 중첩하는 통사적 특성의 차이를 살피고, 이들을 사용할 때 대응되는 양상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이 논문은 한국어 정도부사와 중국어 정도부사에 대하여 통사론적 관점으로 유사점과 차이점을 파악한 것뿐만 아니라 두 언어가 번역할 때 자주 나타나는 잘못된 것들도 밝히었다. 한국어 정도 부사어가 중국어에서의 대응표현에 대한 연구는 한국어 정도 부사어를 중국어로 표현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며 한국인 학습자가 중국어, 특히 중국어 정도 부사를 배우고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한국어 정도 부사어와 중국어 정도 부사어의 특성을 이해하는 데도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앞으로 한·중 정도부사에 대해 좀 더 깊이 있고 폭넓은 연구가 되어야 할 과제로 생각된다. 이 연구를 통해 한·중 언어대조의 연구에 대해 다소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
참고문헌
[1]최현배, 「우리말본.정음사」1937
[2]김수미,「국어 정도부사와 상태성 피수식어 연구」, 울산대 국어교육석사학위논문.2011
[3]김현철,「现代中国语程度副词比较研究--很,太,挺,非常을 중심으로」《中国语文学论集》第17号.2011
[4]이충우, 「국어 정도부사의 동사 수식에 대하여」,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석사학위논문.1986
[5]홍사만, 「국어 정도부사와 상태부사의 비교연구」, 「동양문화연구」제4집, 경북대학교 동양문화연구소.1977
「국어 정도 부사의 하위분류」, 「어문론총」 제36집,
경북어문학회.2002
[6]吕淑湘. 《现代汉语八百词》, 商务印书馆 1995
[7]백문식. 「우리말 부사사전」2006,
[8]박이정「연세한국어사전」. 연세대학교 언어정보개발연구원 편, 두산동아 1999
[9]王还. 「(중국어)허사서전」, 다락원 (민재홍, 윤창준, 장재웅 [공]옮김) 2003
[10]《中韩大辞典》. 고대민족문화연구소 중국어대사전편찬실 1995
[11] 표준국어대사전」. 국립국어연구원, 두산동아1999
[12]《现代汉语词典》. 中国社会科学院语言研究所词典编辑室, 商务印书馆2005
[13]李凤宇. 程度副词句法语用特点的调查研究——兼论程度副词量性特征与其句法语用特征的对应, 汉语学习(Chinese Language Learning), 2007年02期
[14]张琦, 《‘太’和‘너무’的对比分析》,《中语中文学》40,33-45,
韩国中语中文学会.2007
[15]张谊生, 《现代汉语副词研究》, 上海学林出版社.2000
감사의 글
처음 이 대학에 입학했던 2011년 9월부터 오늘까지 약 3년반의 시간은 저에게는 한국어를 배우는 길 뿐 아니라 생장의 시간이었고 감사한 삶이었습니다. 이렇게 결실을 맺기까지 부족한 저를 지도해주신 이리 교수님, 그 감사의 마음을 글로 표현할 수 없습니다. 항상 언니 역할로 제 안의 작은 것을 알아봐 주셨고, 그 뿐 아니라 인생의 삶의 자세에 대한 가르침을 주셨습니다. 교수님의 참으심과 지도덕분에 학위과정을 끝까지 마칠 수 있었습니다.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항상 할머니같이 먹을거 사주신 최빈 교수님, 듣기를 가르쳐 주신 귀요미 김금희 교수님, 아쉽게도 한 학기만 가르처 주신 카리스마 이희옥 교수님, 쿨한 김홍철 교수님, 밥을 해주신 친절한 ‘아빠’ 김종덕 교수님, 여러 교수님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마지막으로 항상 곁에서 힘이 되어주는 친구들, 그리고 한결같은 사랑을 베푸시느 가족들께 이논문을 바칩니다. 이 외에 제가 미처 언급하지 못한 고마운 분들이 너무나 많습니다. 그 분들의 이름을 모두 새기지 못함을 죄송하게 생각하며,대신 제 깊은 감사의 말로 이글을 마칠까 합니다.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