更新时间:11-20 上传会员:小猪猪
分类:韩语论文 论文字数:8680 需要金币:2000个
국문초록
한 언어를 배울 때 의사소통을 위해 어휘를 많이 아는 것이 중요하다. 그렇지만 문법도 문장을 만들 때는 빠지면 안 되는 부분이다. 특히 학습자들은 자기 모국어인 중국어와 비슷한 한국어를 학습할 때는 문법적인 공통점이 많기 때문에 학습자들이 헷갈리는 경우도 많다고 생각한다.
교착어인 한국어의 어순은 ‘주어+목적어+서술어(SOV)’어순이고 고립어인 중국어의 어순은 ‘주어+서술어+목적어(SVO)’어순이다. 기본적인 어순은 다르지만 양국 언어에서 문장 속 유사한 구성성분이 적지 않다. 그리고 일상생활 속에서 말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수식어가 필요하다. 부사어는 바로 여러 수식어 중에서 하나이자 말할 때도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그러므로 한국어를 배우는 중국인 학습자들을 위해 한국어와 중국어의 부사어에 대해 비교, 분석하는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본 논문에서는 1 장에서의 선행연구를 보면 양국의 부사어에 대한 연구를 많지만
한국어와 중국어 부사어의 대비 연구는 그다지 많지 않다. 그러므로 이런 바탕으로
이 논문을 시작하게 되었다. 2장에서는 우선 중국어와 한국어 부사어의 정의와 기능,그리고 분류을 살펴보았다. 3 장에서 중국어 부사어의 비교를 펼쳤다. 마지막 4 장에서 각 장의 내용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다.
키워드: 어순 구성성분 부사어 대비연구
목 차
감사의글
국문초록
摘要
제1장 서론-1
1.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1
1.2연구 법위 및 연구 방법-1
제2장 한국어와 중국어 부사어의 정의, 기능 및 분류-3
2.1한국어와 중국어 부사어의 정의와 기능-3
2.1.1한국어 부사어의 정의와 기능-3
2.1.2중국어 부사어의 정의와 기능-3
2.2 한국어와 중국어 부사어의 분류-3
2.2.1한국어 부사어의 분류-3
2.2.2중국어 부사어의 분류-3
제3장 한국어 부사어와 중국어 부사어의 비교-5
3.1 한국어 부사어와 대응된 중국어 부사어의 형식-5
3.1.1 시간 부사어-5
3.1.2장소 부사어-5
3.1.3출처 부사어-6
3.1.4 빈도 부사어-6
3.1.5 공동 부사어-7
3.2 문장 속 부사어의 위치 비교-7
3.2.1 시간 부사어와 기타 부사어-7
3.2.2 장소 부사어와 기타 부사어-8
3.2.3 출처 부사어와 방향 부사어-8
3.2.4 빈도 부사어와 장소 부사어-9
3.2.5 공동 부사어와 출처 부사어-9
제4장 결론-10
참고문헌-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