更新时间:11-17 上传会员:你好,学长
分类:韩语论文 论文字数:6221 需要金币:1000个
국문초록:한국어는 연결어미가 아주 발달한 언어이다. 연결어미 그 자신도 아주 복작하다. 그 중에 원인을 나타내는 연결어미들이 있는데 우리 한국어를 공부하는 학생에게는 상당히 어렵다.
이 글에서는 원인을 나타내는 연결어미 ‘-아서, -니까’, ‘-므로, 기 때문에’, ‘기에, 길래’, ‘느라고, 기로’의 혼동을 일으키는 원인과 각각의 의미과 사용 제약에 대해서 낱낱이 연구했다. 잘 구별하려면 먼저 주어와 이유의 강조, 그리고 체별 등을 고려해야 한다.그래야 최대한 실수를 면할 수 있다.
먼저, ‘-느라고’, -‘기로’를 연구했다. 첫번째로 연구하는 원인은 이 두 연결어미가 구별할 때 제일 어렵다. 이게 두 연결어미의 공통점이라고 할 수 있지만 자세히 살펴보면 차이점도 없지 않다.그 다음에 ‘-아서’와 ‘-니까’를 연구하는 이유는 이들이 한국어 초보자들에게 자주 혼동하는 것이다. ‘-아서’와 ‘-니까’는 다 ‘선행절이 후행절의 원인’으로 설명 가능하다. 중국어로도 ‘因为,由于’으로 번역할 수 있다.셋번째로 ‘므로’와 ‘기 때문에’를 연구했다. 마지막 ‘게에’와 ‘길래’를 연구했다.‘-기에’는 주로 글말에서 많이 쓰이고 ‘-길래’는 입말에서 많이 쓴인다.
키워드: 느라고’와-‘기로 ‘-아서, -니까’ ‘-므로, 기 때문에’ ‘-’ ‘기에’와 ‘길래’
摘 要:韩国语的连接词尾十分发达,连接词尾本身很复杂。其中有表示原因的连接词尾,这些对于我们学习韩语的人来说很难。
本文对于‘-아서, -니까’, ‘-므로, 기 때문에’, ‘기에, 길래’, ‘느라고, 기로’这四组连接词 尾引起混同的原因和意义用法限制进行了一一的研究。
要想好好掌握这些连接词尾的异同,首先要掌握主语和理由的强调,要考虑到它的体别这样才能避免最大的失误。
最先研究了‘느라고, 기로’这组,因为它最难。这两个词尾虽然有共同点,但是仔细研究的话它们也不是没有差异点。其次研究了‘-아서, -니까’,因为它们让初学者感到很困惑。因为‘-아서, -니까’的前句都是后句的原因,都可以用中文翻译为“因为,由于”。第三研究了‘-므로, 기 때문에’。最后研究了‘게에’和 ‘길래’。‘게에’多用在书面语中,而‘길래’多用在口语中。
关键词: 느라고’와-‘기로’ ‘-아서, -니까’ ‘-므로, 기 때문에’ ‘- ‘기에’와 ‘길래’
한국어는 연결어미가 아주 발달한 언어이다. 연결어미 그 자신도 아주 복작하다. 그 중에 원인을 나타내는 연결어미들이 있는데 우리 한국어를 공부하는 학생에게는 상당히 어렵다.
이 글에서는 원인을 나타내는 연결어미 ‘-아서, -니까’, ‘-므로, 기 때문에’, ‘기에, 길래’, ‘느라고, 기로’의 혼동을 일으키는 원인과 각각의 의미과 사용 제약에 대해서 낱낱이 연구했다. 잘 구별하려면 먼저 주어와 이유의 강조, 그리고 체별 등을 고려해야 한다.그래야 최대한 실수를 면할 수 있다.
먼저, ‘-느라고’, -‘기로’를 연구했다. 첫번째로 연구하는 원인은 이 두 연결어미가 구별할 때 제일 어렵다. 이게 두 연결어미의 공통점이라고 할 수 있지만 자세히 살펴보면 차이점도 없지 않다.그 다음에 ‘-아서’와 ‘-니까’를 연구하는 이유는 이들이 한국어 초보자들에게 자주 혼동하는 것이다. ‘-아서’와 ‘-니까’는 다 ‘선행절이 후행절의 원인’으로 설명 가능하다. 중국어로도 ‘因为,由于’으로 번역할 수 있다.셋번째로 ‘므로’와 ‘기 때문에’를 연구했다. 마지막 ‘게에’와 ‘길래’를 연구했다.‘-기에’는 주로 글말에서 많이 쓰이고 ‘-길래’는 입말에서 많이 쓴인다.
모국어로서의 국어문법연구는 많은 문법 서적들이 나와 있을 뿐만 아니라 많은 연구도 이루어졌다. 하지만 이러한 문법서적들은 외국어로서 배우는 한국어교육의 적용에 있어서는 추상적이고 실용적이지 않다. 실제로 한국어 문법 교육을 하는 현장에서는 국어 문법의 체계성 , 구체성에 대한 교육이 아니라 개개의 문법형태들에 대한 구체적인 의미, 기능에 대한 분석과 또 비슷한 기능과 의미를 가진 문법형태소들 간의 차이점에 대한 교수가 필요하다. 하지만 많은 문법서들에서는 이러한 설명이 되어 있지 않고 전반 국어문법의 체계성에 대한 이론들이 주류를 이룬다.앞으로 개별 문법항목들에 대한 보다 많은 비교연구들이 이루어져서 훌륭한 교재개발을 위한 문법적 기틀이 만들어지기를 기대 본다.